비트코인 Bitcoin - 정부나 중앙은행, 금융기관의 개입 없이 개인간(P2P) 거래 가능 - 블록체인을 이용한 첫 암호화폐 - 계정 잔액과 거래 정보 공유 - 총 2,100만개 발행이며, 4년 마다 채굴 보상 반감기 존재; 이미 1,700만개(약 81%) 채굴 됨 - 1MB의 블록을 유지하며 확장성을 위해 세그윗, 슈노 시그니쳐, 라이트닝 네트워크 등 도입 ■ 블록구조 비트코인은 아래 그림과 같이 첫 블록의 헤더값을 중심으로, 다른 블록(거래)들이 맞는지 확인한다. 출처: https://bitcoin.org/img/dev/en-blockchain-overview.svg 하나의 블록안에는 아래와 같은 정보들이 들어있다. 해시는 어떤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함수이다. 블록 해시는 6가지..
암호화(Encryption)와 해시(Hash)의 차이점 암호화 Encryption 양방향 통신으로 복호화 가능 복호화를 사전에 치면 '상대된 전송 장치에서 전송되어 온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 이라고 나온다. 즉, 어떤 일정한 패턴이 있어 상대방이 변환한 내용을 풀 수 있다는 뜻이다. ex. 모스부호 암호화폐를 예로 들자면, 공개키로 암호화하고, 개인키로 복호화(해독)하는 것이다. 해시 Hash 이전글(2019/08/19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 정의)에서 아래의 두가지 특징을 설명했었다. 1. 데이터(문장) 길이에 관계없이 일정한 길이의 해시값으로 변경 2. 공공 거래장부의 위조 방지 그 외의 특징으로는 단방향성(message digest)이 있다. 예로, 사람의 지문처럼 지문을 찍으..
비트코인? 블록체인? 모두가 한 번씩은 들어본 단어일 것이다. 다만, 본 카테고리는 암호화폐보다는 그 기술인 블록체인에 대해 다룰 것이다. 그렇다면 먼저 비트코인(Bitcoin)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겠다.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은 2008년 "나카모토 사토시(Nakamoto Satoshi )"라는 가명을 사용한 사람(혹은 단체)가 만들었다. ▶암호화폐가 생겨난 이유 1. 정부와 중앙은행의 독점 - 화폐의 권한이 모두 정부와 중앙은행에 몰려 있기 때문에, 관련 정책을 바꾸거나 가치를 조작한다면 국민이 손쓸 방법이 없다. 2. 보안 문제 - 가장 중요한 이유하게 생각하는 이유이다. 한국에 있는 모든 은행 고객은 한 번쯤 개인정보를 털려봤을 것이다. 그런데 만약 해커가 은행의 보안을 뚫어 모든 데이터가 없어져 ..